상상PLUS

대상관계 - 주요학자 1

단지놀이터 2024. 9. 10. 09:01
반응형
반응형

 

2.주요학자

 

1)멜라니 클라인(1882~1960)

-1882년 비엔나 유태인 가정 출생, 아동정신치료가, 프로이드의 욕동모델에서 대상관계의 치료모델로 발전시킴.대상관계의 어머니, 유아를 대상으로 놀이치료방법을 도입하여 관찰

.주요내용

-내부대상세계:관찰을 통해 자신의 리비도 충동조절보다 대인간 세계구성에 더 많이 노력함

-어머니-아동관계:모든 관계의 원형(최초의 관계이면서 거의 모든 관계 상황포함)

-어머니:아동 출생 이전부터 아동을 위해 존재함. 유아는 어머니의 존재에 대한 타고난 무 의식적 자각을 가짐. 생득적인 어머니

-죽음의 본능과 공격성: 죽음 본능과 그 표현인 공격성을 중시

만약 자신의 존재를 확인받지 못한다면 자기소멸(멸절불안)로 갈수 있는 파괴적인 내적 힘 이 존재. 삶의 세력과 죽음의 세력 간의 내부투쟁이 궁극적으로 외부세계에 투사(젖가슴)

-분열(splitting):초기에 세계를 좋고 나쁜 것으로 이분하고 다시 내사함. 나쁜 대상, 좋은 대 상을 내사하여 내적표상 세계가 좋고 나쁜 것으로 분열됨.

죽음본능이 외부세계에 투사세상을 악의적이고 파괴적인 인물(대상)이 가득 찬 것으로 봄(대인관계,흑백논리..)

삶의 본능을 외부세계에 투사좋은 대상 창조하여 나쁜 대상만으로 채워지는 것을 방지

-투사적 동일시:어머니에게 공격적 환상을 투사, 어머니는 유아가 투사한 것을 무의식적으 로 받아들여 동일시하고 조종을 받아들여 느끼고 행동함

-편집 분열적 자리와 우울적 자리: 유아의 기본적인 갈등은 보존하려는(사랑) 감정과 파괴 하려는(미움)감정의 반복에 관한 것

편집-분열적 자리:생후3~4개월, 세상과 유아의 첫대면, 첫 대상인 젖가슴(부분대상)과 접 촉, 자궁의 안전감의 상실,탄생의 고통,어머니에 의한 실제적 좌절,환상속에서의 좌절은 학대받고 공격받는다고(박해불안) 느낄 수 있음.

만족 아니면 박탈만을 경험하므로 좋거나 나쁜 감정만이 있을 뿐이어서 상당한 내적 혼란

우울적 자리:4개월~생후2년 초, 어머니가 전체 대상으로 확립

좋고 나쁨이 동일한 사람에게서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경험, 파괴적인 충동이 죄책감으로 대치됨, 대상파괴에서 대상보전으로 전환

두 자리는 발달단계이지만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삶의 국면에 따라 다시 옮겨질 수 있음

 

.평가

-인간발달의 요인을 개체 내 상황에서 대인간의 상황으로 대전환

(본능적 욕동만족관계의 추구)

-초기 성격 발달에 대한 연구에 선구자적 역할

-초기 내사, 분열의 작용과 투사적 동일시, 무의식적 기제의 제안

-대상관계이론의 기틀 마련

-죽음의 본능, 유아의 환상을 지나치게 강조함

-공격성개념의 불명확한 사용. 증오, 파괴욕망, 가학적 소망과 동일시함

-인간발달의 정상적 과정을 정신병리학적 용어로 규정함

 

2)페어벤(1899~1964)

-인간행동의 궁극적인 목표가 의미 있는 인간관계를 확립하기 위한 것

-관계성에 대한 욕구, 대상 추구로서의 리비도, 초기 어머니 아동관계 중요성 강조

-vs클라인: 파괴적인 환상보다는 관계에서 나타나는 의존성의 작용을 중시

.주요내용

-발달단계:의존성이 경험되는 방식과 어머니와의 의존관계가 어떻게 아이의 자아에 구조적 으로 통합되는가에 의해 결정

초기 유아적 의존단계: 양육자와 심리적 융합상태, 미분화상태, 자기감 미발달, 일방적 의존단계 돌보는 한 쌍”(위니컷) “일차적 동일시(페어벤)

과도기적 단계:단계 간의 교량으로 존재. 상호 의존관계로 이동하는 삶의 과정을 수반함

-신경증: 유아적 의존단계의 유대를 포기할 수 없거나 포기하지 않으려는 데서 기인함.

성숙한 의존단계: 상호성과 교환이 특징, 서로 다른 점에 대한 이해가 가능,

-분열: 어머니를 좋고 나쁜 요소로 나누고 하나를 다른 것으로부터 심리적으로 분열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위협받는 감정 없이 의존성 유지가능,‘좋고’ ‘나쁜내적 대상으로 분열되는 내적 세계형성 (이중인격, 흑백논리)

-‘좋은내부대상: 이상적 대상, 어머니가 자신을 위로해주고 보상해주는 측면이 내면화될 때, 바람직하고 사랑받는다는 감정

-‘나쁜내부대상:

흥분시키는 대상: 감질나게 하고 괴롭히고 아이를 유혹하는 어머니와 상호작용결과

만성적으로 좌절감과 공허감을 느낌유아적 리비도(애욕적)자아 발생:결코 만족될 수 없지만 항상 목말라하는 자아의 한 부분

거절하는 대상: 적대적이거나 철수되어 있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자신이 사랑받지 못 하고 원치 않는 아이라고 느껴 만성적으로 화가 남

항리비도(항애욕적) 자아 발생:지속적으로 좌절감,박탈감,증오,복수심에 불타는 자아

-중심자아: 이상적 대상으로부터 나온 자아의 부분, 중심자아만이 현실세계에서 관계를 맺 을 수 있음. 다른 두 자아는 고통을 가져오기 때문에 억압됨

 

.평가

-클라인의 이론을 정교화

-환상보다 실제 관계가 주요하게 고려된다는 측면에서 클라인보다 순수하게 관계적

-자아나 진짜 자기가 대인관계 맥락 밖에서 발달되는 것이 아니라는 대상관계 논쟁에 의미 를 부여한 최초의 사람 중 하나

 

3)마가렛 말러(1897~1985)

소아과 의사, 정신분석가, 대상관계 이론의 발달적 측면에서 어머니와 아이의 상호작용을 가장 확고하게 위치지움, 어머니에 대한 아이의 초기 애착의 심리적 중요 강조

.주요내용

-공생: 어머니로부터 비분화되려는 유아의 정신내적 경험

-분리(격리): 어머니로부터 분리되는 아동의 정신내적 감각의 완성, 대상세계의 표상과 대 상으로부터 구별되는 자기의 선명한 정신적 표상포함

-개별화: 아동이 초기 분리와 개별화 과정에서 성공한 이후 완전한 정체감이 옴.

개별화가 된다는 것은 존재감의 초기 자각과 전체로서 나이다’(I am)라는 느낌

분리와 개별화는 서로 뒤엉키고 보완적임. 내부 조직자의 부재상황에서 어머니는 내부와 외부의 자극에 대한 완충기 역할을 해주어야 함.

-구조화: 욕구 만족과 욕구좌절의 연속에 의해 촉진. 어머니는 욕구만족을 제공하고 과도 한 욕구좌절을 방지함으로써 유아를 위한 보조자아로서의 역할을 함.

욕구좌절이 너무 많으면 발달을 방해하지만 다룰수 있는 약간의 욕구좌절은 발달에 도움

-대상관계: 다른 사람에게 대상 리비도를 주는 한사람. 인간관계 대신에 과도적 대상을 너 무 경직되게 사용하는 것은 이후의 장애의 확실한 징표가 됨

-상호신호: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의 한 형태이며 상호 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발달.

유아는 욕구, 즐거움과 긴장에 대해 신호를 보내며 어머니는 신호 중 단지 어떤 것에 대 해서만 선택적으로 반응함

 

-분리-개별화 발달단계

정상적 자폐기(~2,3개월): 폐쇄체계로 존재. 일차적 자기도취

일차적 양육자 관계 인식시작(5), 젖꼭지가 나의 일부가 아님을 알아챔

정상적 공생기(2개월~18개월): 어머니를 알아보기 시작함.

유아와 어머니는 두 개체의 합체로서 전능한 체계인 것같이 기능하고 행동함(대양감)

좋은 경험과 즐거움, 나쁜 경험과 고통을 구분함. (Inot-I로 분열시킴)

분리-개별화기(4,5개월~30-36개월)

-분화하위단계(5개월~10개월):지각분화에 중심적인 역할.

부화(내면 지향적 주의집중에서 외부지향적 주의집중으로 바뀌고 주위가 환기되는 것, 능동적인 탄생, 낯가림 경험

-실행하위단계(7-10개월~15-16개월):어머니와 신체적으로 거리를 둘 수 있는 아이의 능 력이 심리적 탄생의 진정한 시작을 의미. ‘정서적 재충전을 위해 기지인 어머니를 찾 고 일정한 간격으로 재차 확인함. 전능에 대한 신념이 최고조에 달함.

-재접근(화해)하위단계(15~30개월): 자아는 어머니로부터의 격리와 어머니 없이 진정으 로 홀로되었을 때의 무능 모두를 인식. 전능감의 감소와 의존성의 증가로 어머니에게로 되돌아옴. 어머니의 가용성은 아동이 모방하고 동일시 할 수 있도록 허락함.

-개인성의 통합과 대상항상성 수립(25~36개월): 리비도적 대상 항상성의 수립은 어머니 의 부재 상황에서 안락함을 공급해주며 아동이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어머니의 긍정적 내적 상을 내면화하는데 달려 있음. 건강한 대상관계를 확립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합. 초자아의 전조들이 시작되고 자아 기능이 현저히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