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후스트레스장애 2

DSM-IV : 스트레스 관련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DSM-IV : 스트레스 관련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천재지변이나 교통사고나 폭행 등 분명한 외상적 경험을 한 후 지속적으로 고통스러운 경험을 반복하는 장애로서, 예컨대, 월남전에서 부상을 입은 환자가 그 후 지속적으로 가위에 눌리는 등 불안장애 반응을 보이는 것을 들 수 있다. ① 진단준거 a. 환자가 경험한 외상은 정상적인 사람들이 겪는 경험의 범위를 넘어선 것이어야 하며 그러한 경험은 누구에게라도 고통스러운 것이어야 한다. b. 다음 열거한 여러 방식 중에서 한 가지 이상으로 계속 외상적 사건을 재경험하게 되는 경우 - 반복적이고 침투적으로 그러한 사건이 회상되고 고통을 받는 경우 - 그러한 사건이 계속 꿈으로 나타나는 경우 - 마치 그러한 일들이 다시 발생하는 것처럼 행동하고 느끼는 경우 ..

상상PLUS 2024.11.12

DSM-IV : 스트레스 관련장애

DSM-IV : 스트레스 관련장애 1) 개관 심리적인 외상이나 압력이 신체적인 증상이나 질병과 관련된다는 것은 이미 기원전 4세기 경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주장되었다. 그는 강한 정서적 경험, 특히 공포와 분노가 신체적 기능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하였다. 현대 과학적 입장에서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신체적 증상을 연관지으려는 정신신체 의학은 1935년 Dunbar가 정신신체 의학의 문헌을 강조한 데서 비롯되었다. 그 후 Dunbar(1943)는 특정한 신체증상과 성격특성 간의 관계를 기술하고 있다. 즉 자기통제력이 강하고 완벽주의적인 사람이 권위적인 상급자와 심각한 갈등을 경험할 경우 본태성 고혈압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이런 신체적인 장애와는 달리, 프로이트가 전환 히스테리 증상을 치료하면서 이 장애가 ..

상상PLUS 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