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PLUS

KFD 가족화 그림검사 (Kinetic Family Drawing)

단지놀이터 2024. 8. 23. 09:13
반응형
반응형

1. KFD 가족화 그림검사 (Kinetic Family Drawing)

 

1) KFD란 무엇인가

◈ KFD 란 : 가족들이 무언가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리도록 하는 운동성 가족화 기법

◈ 주관적이고 심리적으로 느끼는 가족 구성원들에 대한 내적인 상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검사

◈ 아동의 주관적 판단에 크게 의존하게 되기 때문에 KFD는 의식적, 무의식적 투사기법의 일종임

 

2) KFD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

영향을 미치는 인물

가족성원 내 힘의 분포

친밀감 및 단절감

부모 및 형제와의 관계, 대인관계

가족 내 자신의 위치

 

3) KFD의 역사적 배경

헐스(1951) : 가족화 그림을 처음 도입

가족 내 아동의 심리적 어려움을 파악해냄

해머(1958) : 개인의 욕구와 환경적 압력간의 관계, 대인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고 주장

번스, 카우프만(1972) :운동성 가족화 기법을 통해 가족 내의 상호작용을 보다 쉽게 파악, 가족 구성원에 대한 주관적 감정이 반영됨

 

4) KFD의 의의 및 활용

시행절차와 준비가 비교적 간단

투사기법으로서의 장점을 지님

심리치료를 위해서 활용

아동, 청소년들의 심리적 상태를 진단하는데 활용

가족 안에 상호작용을 보다 쉽게 파악

 

2. KFD의 실시방법과 유의점

◈ 준비물 : A4 용지, 지우개, 4B연필, 초시계

◈ 실시 : 용지를 가로로 제시한다.

( HTP를 함께 실시한다면 바로 이어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지시문 : “가족이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보세요”“막대기나 만화 같은 모습이나. 움직이지 않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장면, 즉 어떤 동작을 하고 있는 것을 생각해서 그려보세요”

 

KFD 사후 질문

◈ 가족들이 무엇을 하고 있나요?

◈ 가족들 분위기는 어때 보이나요?

< 각 인물에 대한 질문 >

◈ 이 사람은 누구인가요? 기분이 어때 보이나요?

◈ 지금 무엇을 하고 있나요?

◈ 엄마(아빠)는 어떤 분인가요? 성격을 어떤가요?

◈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 안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 엄마(아빠)가 너한테 바라는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 네가 엄마(아빠)에게 바라는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 가족 중에 누구와 제일 친하나요?

◈ 가족 중에 누가 제일 어렵나요?

◈ 이 그림을 보면서 무슨 생각이 드나요?

◈ 앞으로 이 가족은 어떻게 될 것 같나요?

◈ 만일 이 그림에서 무언가를 바꿀 수 있다면 무엇을 바꾸고 싶은가요?

 

3. KFD의 해석원리

그림만 가지고 맹목분석을 하지 않는다.

행동 관찰->면접->KFD의 구조 및 사후질문 해석->

다른 심리 검사 결과


1) 행동 관찰

◈ 헐스(1951) : “KFD를 해석할 때 그림 내용뿐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 아동의 행동도 매우 중요하다.”

◈ KFD를 지시했을 때의 표정, 반응, 언급한 말

(: “아빠는 안 그려도 되죠? ,헉,안그려야지,

그건 좀 힘든데”,“가족 을 다 그려야 되요?”)

◈ KFD 지시 후 시작까지의 반응 시간

◈ KFD 수행 소요 시간

◈ 누구를 먼저 그리는가

◈ 지우개 사용빈도, 어떤 인물묘사 시 지우개를 자주 사용하는가

◈ 수행 거부 혹은 지연을 보이는가

◈ 사후 질문 시 반응태도


( 행동 관찰 및 사후 질문 사례 )

( SCT : 문장완성 검사)

◈ 나의 나쁜 점은 성미가 급하고 다음은 생각이 안 난다.

◈ 여자 애들은 마구 할퀴고 때리고 꼬집는다.

◈ 내가 가장 무서워하는 것은 바로 여자 친구들

◈ 나를 가장 화나게 하는 것은 재수없고 싸가지 없는 친구

◈ 우리 엄마 아빠는 친절해서 좋고 화나면 무섭다.

◈ 외딴 곳에 혼자 살게 된다면 싫어하는 친구와 살고 싶다

(이유 : 먹을 거 갖고 몰래 먹고 싫어하는 친구 굶어 죽으라고 감춰뒀다 잘 때 혼자 먹는다)

 

2) 면접 내용

◈ 아동 평가(부모 면담 시)

◈ 5분 ~ 10분

◈ 자녀의 양육관, 양육태도

◈ 자녀와의 관계

◈ 집에서 누가 주로 훈육을 하며,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

◈ 부모의 지시에 따르는 비율은 어떠한지

◈ 어머님(아버님) 성격

◈ 자녀는 주로 누가 양육하는지

◈ 형제, 자매 관계

 

3) 다른 심리평가 결과

KFD 구조적 해석 사후 질문 해석

-HTP 해석

-문장완성검사(SCT) : 우리 엄마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은, 내가 외딴곳에 혼자 살게 되면

-그 외 부모 MMPI(부모 양육 질문지)

 

4. KFD의 구조적 해석

KFD 해석 시 가장 먼저 고려할 요소

◈ 가족 구성원이 어떻게 그려졌나

- 신체 부위가 생략된 것은 없는지

- 팔 다리의 길이는 적절한 지

◈ 실제 가족 구성원 중 안 그린 사람이 있는지

- 그 가족 구성원에게 가지는 아동의 태도가 부정적임을 의미

◈ 가족 원이 아닌 사람을 그렸는지

◈ 누구를 그릴 때 자주 지웠는지

◈ 자신을 안 그렸는지

- 자기 가치감과 자존감이 낮음

- 우울한 아이들에게서 나타남

 

1) 인물의 활동

◈ 상호작용 : 그려진 가족 모두가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 일부만이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 아니면 상호작용 행동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는지

◈ 가족 내의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을 드러냄 :

가족 내 아동의 역할은 부모상, 남성성, 여성성에 영향을 미침

 

2) 그림의 양식

◈ 가족구성원 및 사물의 위치를 용지 안에 어떻게 구성하는가를 의미함

◈ 아동이 가족 내에서 느끼는 친밀감, 신뢰감과 주관적인 느낌 및 태도와 관련

◈ 중요한 가족 성원과 상호작용을 못하고 있는 그림은 아동에게 의미있는 단서가 될 수 있음

◈ 예) - 어떤 가족 구성원은 그리지 않음

- 자신과 가까이에 특정인을 그림

- 특정인만 멀리 떨어뜨려 그림

 

(일반적 양식)

◈ 가족구성원들이 긍정적이고 온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그림

 

◈ 성원간에 거리감을 느낄 수 있는 사물이나 벽이 존재하지 않음

◈ 가족간에 친밀감이 있으면 온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아동에게서 보여짐

 

(구획화)

- 직선이나 곡선을 사용해 가족화에서 인물들을 의도적으로 분리하여 그리는 경우(용지를 접어서 구분하는 경우도 있음)

◈ 가정에서 상호간의 적극적인 애정표현이 이루어지지 않음

◈ 가족간의 응집력과 상호작용이 부족한 가정

◈ 외롭거나 억압된 분노감이 있는 아동

◈ 다른 가족 구성원으로 부터 아동 자신과 자신의 감정을 철회하고 분리시키려는 욕구를 드러냄

 

(포위)

- 가족 구성원 중 한 명 이상을 선으로 둘러싸이게 그리거나 또는 줄넘기나 책상과 같은 사물로 둘러싸이게 그리는 경우

◈ 포위시킨 가족구성원은 아동에게 위협적인 대상으로써 분리하거나 제외시키고 싶은 욕구가 표현되는 경우

◈ 가족관계에서 포위한 대상과 정서적으로 단절되어있는 가능성

◈ 두 인물을 같이 포위하는 경우에는 아동에게 두 사람을 동일 시 하는 경향을 암시함

 

(가장자리)

- 가장자리에 나열해서 그림

◈ 상당히 방어적이며 가족 내에서 느끼는 문제를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함

◈ 다른 가족 구성원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해서 저항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

 

(인물하선)

- 특정 가족구성원을 그리고 난 뒤, 특정 인물의 밑에 선을 긋는 경우

◈ 보통 아래에 선이 그어진 대상에 대해 불안감이 있음, 안정에 대한 욕구

 

(하부의 선)

- 한 개 이상의 선이 종이 하단을 따라서 그려진 경우

◈ 기저선은 안정 욕구를 의미함 : 가정이 아동에게 안정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나 아동이 정서적으로 지지 받지 못하거나 인정받지 못할 경우

 

(상부의 선)

- 용지 윗부분에 한 개 이상의 선을 그리는 경우

◈ 가정 내 안정감이 부족하거나 불안, 걱정 또는 위기감을 느끼는 아동에게서도 보여짐

 

3) 상징

◈ 과도하게 혹은 1:1식의 해석을 해서는 안 된다.

◈ 다른 많은 정보들을 고려해 조심스럽게 해석한다.

 

 

 

4) 역동성

1. 인물묘사의 순서

2. 인물상의 위치

3. 인물상의 크기

4. 인물상 간의 거리

5. 얼굴의 방향

6. 특정 인물의 생략

7. 가족원이 아닌 타인의 묘사

 

(1) 인물 묘사의 순서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 내 힘의 서열을 반영하거나 아동에게 정서적, 심리적으로 중요한 대상의 순서를 반영함

아동 자신을 제일 먼저 중앙에 그린 경우 :

자기 중심적인 경향이 강함을 시사

가족 이외의 인물을 가장 먼저 그린 경우 :

가족 내 소속감이나 유대감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2) 인물상의 위치

 

(3) 인물상의 크기

키가 크게 그려진 인물상 : 존경 받는 대상이거나 권위적인 대상으로 가정에서 중심적 위치에 있을 가능성이 높음

키가 작게 그려진 인물상 : 가족들에게 무시당하는 위치에 있을 가능성이 높음

 

(4) 인물상 간의 거리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구성원 간 친밀성의 정도나 심리적 거리를 나타냄

서로 방해물 없이 그려져 있다면 : 서로 친밀함을 의미 또는 정서적 거리감을 보상받고자 하는 욕구

 

(5) 인물상의 방향

정면을 향하고 있는 인물 : 아동이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대상

뒷모습이 그려진 인물 : 부정적 태도와 억압적 분노감을 시사

옆모습이 그려진 인물 : 양가적인 태도를 취함

 

(6) 인물상의 생략

빼고 그렸거나 그리다가 지움 흔적이 있는 경우: 지워진 가족구성원에게 양가감정을 느낌

가족원의 일부를 용지 뒷면에 그리는 경우 : 그 구성원과의 갈등을 시사

 

(7) 타인의 묘사

가족 내의 누구에게도 정서적 교류나 친밀감을 느낄 수 없는 상태에 있음을 추측 또는 소외감을 느끼고 있음

그려진 타인 : 아동의 친구, 친척이 그려지는 경우가 많음, 정서적으로 신뢰감이나 애착을 형성했던 대상일 가능성이 많음

 

5) 인물상의 특징


(1) 음영

인물의 신체 한 부분에 음영이 그려진 경우

- 그 신체 부분에 몰두하고 있거나 불안감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

- 음영이 표시된 인물에 대한 분노감이나 적개심 등의 표현

 

(2) 얼굴표정

직접적인 정서반응을 나타내줌 : 가족활동 안에서 아동이 지각하는 정서 반응

얼굴의 이목구비를 생략한 경우 : 가족 내에서 느끼는 갈등이나 정서적 어려움을 회피하거나 거리감을 두려는 시도로 해석

 

(3) 회전된 인물상

특정 가족구성원만 다른 구성원들과 다른 방향으로 그린 경우 : 가족 구성원에 대한 거리감, 거부감, 또는 갈등적인 감정을 나타냄

 

(4) 막대기 모양 인물상

가족간에 정서적 유대감과 애정적 교류가 부족

갈등관계에 있거나 갈등 관계에 있는 대상에 대한 저항을 나타낼 수도 있음

 

(5) 기타

팔이 비정상적으로 길게 그려짐 : 환경을 지배하려는 욕구가 강함. 아이를 통제하려고 함

 

진단별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