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PLUS

내재동기의 발달 및 연구방향

단지놀이터 2024. 8. 21. 09:35
반응형
반응형

제8절 내재동기의 발달

 

• 학업상황에서 내재동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내재동기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 Harter(1981): 초등학생들이 중학교로 진급함에 따라 전반적인 내재동기 수준은 점차 감소하고, 반면에 외재동기 수준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차원의 양극단 연구의 영향

• Gottfried 등(2001):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에 걸친 종단 자료를 분석하여 학업에 대한 내재동기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 안도희, 김지아, 황숙영(2005): Harter의 인지적 유능감으로 내재동기 수준을 측정한 결과 초등학생들보다 중, 고등학생들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교육의 연한이 길어질수록 내재동기가 줄어드는 이유>

(1) 발달심리학적 해석: 어린 아동들은 비현실적으로 높은 자기개념과 성공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 아동들은 점차 자신들에게 주어지는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제대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게 되며, 다른 아동들과 자신을 비교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에 대한 평가가 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으로 되어 간다.

(2) 환경의 변화

-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개별 학생에 대한 교사의 관심이 감소하기 때문에 아동들은 자신의 수행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받을 기회가 줄어든다.

- 준거참조적 평가보다 규준참조적 평가가 증가하여 경쟁적인 환경에 노출될 기회가 많아지게 되어 잦은 실패나 좌절을 경험하게 된다.

- 경쟁적인 환경에 노출될 기회가 많아지게 되어 잦은 실패나 좌절을 경험하게 되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다양화 되는 교과목이나 학습내용들로 인해 자신감이 줄어들게 된다.

- 초등학교에서 상급학교로의 진학은 새로운 환경으로 전환됨에 따른 책임감이나 자기관리 등의 문제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유능감이 감고하고 내재동기가 감소하게 됨을 예측할 수 있다.

(3) 유관적 보상과 외적 제약요인의 누적(Deci & Ryan, 1985)

 

제9절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

 

① 외적제약 사용의 최소화

② 과제 선택의 자유와 가능성 제공(한 가지 과제보다는 복수적인 과제들을 통해서 선택)

③ 실패결과에 대한 노력 귀인 권장

④ 수행결과에 대한 구체적, 정보적 피드백 제공(즉각적으로)

⑤ 적정수준의 과제 난이도(성공경험을 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과제)

⑥ 적절한 보상 제시방법의 사용

⑦ 즐거운 수행환경 마련

 

제10절 내재동기이론에 대한 평가 및 현 상태

 

1. 평가

• 외재동기가 유해한 효과를 발생시키기 쉬운 조건들을 명확히 제시했다.

• 행동주의 강화이론가들의 주의를 환기시킨 계기를 마련했다.

• 내재동기의 측정의 자기보고반응은 수집도니 자기보고 반응이 얼마나 신뢰롭고 타당한가에 따라 연구결과의 타당성이 좌우된다.

• 보다 객관적인 내재동기에 대한 측정치를 확보하기 위해 직접관찰 자료수집 권장 및 fMRI기법의 도입

 

제11절 한국의 내재동기 연구

 

1. 내재동기이론 전반

• 1980년 중반: 유아교육분야(이종숙, 1984), 사회 및 성격(한덕웅, 1984), 외적 보상이 내재동기를 저하시키는 현상(이상희, 안신호, 1988; 안신호, 장형석, 1989)

• 1990년대: 내재동기이론 개관논문(한성열, 1995), 보상이 내재동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장재윤, 구자숙, 1998), 대학생의 동기요인들의 관련성(강혜원, 1998)

• 2000년대: Amabile의 내재동기와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하대현, 2002), 내재동기이론과 연구들에 대한 검토와 교육현장에 대한 시사점(하대현, 2003), Amabile의 내재동기이론에 근거하여 동기유형의 분류를 시도한 연구논문(하대현, 최형주, 송선희, 2003)

 

2. 한국의 플로우 모형 연구

• 경험표집방법: 엄나래와 정영숙(2002), 최인수 등(2003), 김기욱 등(2004)

• 플로우 상태 척도: 김정환과 이기택(2001), 이은주(2001)

• 학교상황에서의 몰입척도: 이태정(2003), 이채희와 서애리(2001)

• 교수몰입척도: 김아영, 최기연, 이채희(2008)

• Csikszentmihalyi의 몰입설문지를 수정·보안하여 사용: 최인수와 이미나(2004)

 

3. 이론발전 전망

• 인간의 행복추구를 주제로 삼는 긍정심리학이 많이 주목을 받고 있는 최근 심리학의 발전 동향에 비추어 볼 때 내재동기이론 전반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플로우 모형과 자기결정성이론은 계속적인 연구의 관심주제로 남을 것이다.

• 외재동기에 비해 내재동기가 다양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는 연구결과들이 계속 발표되는 현 상황에서 내재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교육실제에 큰 공헌을 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