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PLUS

동기이론 상담이론 정리

단지놀이터 2024. 9. 16. 09:14
반응형
반응형

 

1. 동기이론 개관

 

제 1절 동기의 속성

1. 개념 및 용어 정의

‘동기(motive)’ 어원 - 라틴어 ‘movere(움직이다)’로 무엇을 움직이게 하는 것.

심리학에서 동기 기능 : 각성상태- 유기체의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생리적 에너지

(행동하게 하는 힘의 근원으로서의 기능)

행동을 조절하는 힘(행동의 조절자로서의 기능)

동기의 일반적인 정의 - “행동을 시작시키고, 방향을 결정하며, 끈기와 강도를 결정하는 힘”

동기와 관련된 개념

-욕구(need) :Hull(1943)- ‘욕구’란 생리적 혹은 심리적인 상태로 개인을 목표를 향해 움직이도록 만드는 일종의 내적 결핍상태.

-추동(drive) : 욕구 발생의 결과로 생기는 관찰가능한 행동의 변화.

-동기화 또는 동기유발(motivation) : 대상행동을 향하게 하거나 멀리하게 만드는 추동.

*이 세 가지 개념들은 연쇄적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욕구, 추동, 동기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상태들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과정은 ‘동기화 과정’ 혹은 ‘동기유발’이라고 한다.

 

2. 동기를 정의할 때의 접근 틀

첫째 의식적 의도
-개인의 소망이나 포부에 대한 지각, 또는 목표에 관심을 둔 포부수준이론이나 목표설정이론에서와 같이 동기를 의식적 의도로 보는 접근
무의식적 기능
-무의식적 기능을 강조하는 정신분석적 접근(예, Freud는 성적 욕구, 불안, 공격성 등이 인간욕구의 무의식적 근원이며 행동을 결정하는 동기로 보았다.)
둘째 생물학적 조절기능
-조건반사이론이나 추동감소이론 등 생물학적 조절기능을 포함하는 개념과 행동의 목표에 의해 방향이 결정되는 목적적인 속성을 강조하는 행동주의이론, 성격이론, 사회심리학적 이론들에서 동기를 구분하는 체계.
목적적 기능 접근
-행동은 목표에 의해 방향이 결정되는 것임을 강조. 자기조절이론



셋째 내재동기이론
-동기가 행동을 시작시키고, 방향을 결정하며, 행동의 끈기와 강도를 결정하는 힘이라고 정의할 때, 이 힘의 근원을 개인 내부의 흥미, 호기심, 의지, 생각 등에서 찾음
외재 동기 접근
-외적인 보상이나 벌 혹은 강압 등에서 찾음



넷째 상황 특수적 이론
-특정 상황에서의 행동을 결정짓는 동기에 관한 것.
-근접동기 이론

일반적 이론
-동기를 개인의 행동 선택과정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으로 보려고 함.
-원격 동기 이론
다섯째 현대의 동기 이론 - 앞의 네 가지 틀 속에서 하나의 속성이나 몇 가지 속성의 조합으로 개념화 될 수 있다.
Zimmerman : 자기조절학습이론은 조절 기능적 관점과 목적적 기능 관점의 통합적 입장을 취하는 것.
Deci와 Ryan 유능동기이론 이나 자기결정성 이론 또는 Csikszentmihalyi 몰입상태 이론은 내재동기 관점을 취하는 것.
Bandura : 자기효능감이론은 과제 특수적인 측면을 강조하므로 ‘근접 동기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고, 일반적 자기효능감 이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원격동기적 접근’을 취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목표지향성 이론 : 첫 번째 체계의 의식적 의도 접근과 두 번째 체계의 목적적 접근의 통합으로 볼 수 있다.

 

3. 인간 동기의 구성요소

1) 생물학적 요소

①동기는 행동을 하게 하는 힘의 근원으로서 기능한다.

-행동생물학(ethology) :

특정 행동을 위한 역동적인 에너지 원천을 가지고 있다는 저장고(reservoir)모형을 제안한다고 Franken(1994)은 주장.(저장고 -서서히 에너지로 채워지는데, 저장된 에너지가 많아져 넘치게 되면 행동이 유발되고, 일단 행동이 유발되어 에너지가 소모되면 다시 채워질 때까지 특정 행동이 나타날 확률은 줄어든다는 것. 에너지- 본능적으로 생기는 것일 수도 있고, 생리적인 결핍상태가 만들어 내는 욕구 일수도 있다.)

행동생물학에서는 유전구조가 행동을 시작하게 하고 방향을 결정한다고 한다.( 종 특유의 행동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유전자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변화시키기가 어렵다고 본다.)

 

-행동신경과학(behavioral neurosciences) : 행동학습에 관한 신경조직을 연구하는 학문

보상중추(reward centers)는 두뇌의 아편, 엔도르핀을 분비

변연계는 망상활성체에서 일반적 각성을 주관하고 정서를 관장

시상하부는 종-특수적인 추동의 근원지

뇌 화학 물질인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나 도파민 등의 뇌 화학물질이 행동의 근원, 즉 동기를 관장

 

-생물학적 요소를 중심으로 해서 개발된 동기이론

Hebb(1949)와 Berlyne(1960) - 최적 각성이론(Optimal Arousal Theory)

James(1884), Lange(1885), Cannon(1927), LeDoux(1996) -정서(emotion)에 관한 이론

*심리학에서 정서는 동기적 경향성으로 보는데, 그 이유는 정서가 유기체로 하여금 정서를 유발시킨 대상에 접근하도록 만들거나 회피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서란 특정한 내적/외적 변인들에 대해서 경험적생리적행동적으로 반응하려는 유전적으로 결정되거나 습득된 동기적 경향”으로 본다.

 

②흥미(interest)

-흥미는 인간의 특정 행동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긍정적 정서로서, 특정 행위를 하기 위한 개인의 능력과 기술들을 만들어 내고 학습하고 발전시키려는 욕구로부터 나온다.

-흥미는 개인의 주의집중 정도, 정보처리, 이해정도, 기억정도를 결정한다.

-목적적 행위에서 흥미는 그 행위를 시작하고 지속하게 하며, 노력을 투여하게 하는 동기적 속성을 지녔다고 보므로 동기를 다룰 때는 빠질 수 없는 개념이다.

 

2) 학습된 요소

-동기의 학습된 요소는 본능과 같은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닌 성장하면서 서서히 획득되는 추동 즉 권력, , 성공에 대한 욕구 등과 관련된 것이다.

-학습된 요소는 물론 행동주의 학습 이론가들이 중시하는 것으로 고전적 조건화에 의해 형성된 공포감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3) 인지적 요소

-Tolman(1932)의 ‘기대(expectation)'라는 인지적 개념에 기초하여 시작 된,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걸친 ’인지혁명‘이라 일컫는 심리학의 패러다임 전환과 더불어 동기의 개념 탐색에서도 인지적 요소가 강조되기 시작.

-초기의 시도를 대표하는 것: Festinger(1957)의 인지부조화이론

Heider(1958)의 귀인이론

Schacter와 Singer(1962)의 정서에 대한 이요인설(two-factor theory)

*이 이론들의 공통점 - 모두 인간의 사고나 신념, 태도가 동기를 결정한다는 것.

 

4. 관련 개념

1) 외재동기와 내재동기

행동에 대한 외적 원인에 초점을 두는 경우를 외재동기 이론, 내적 원인에 초점을 두는 경우를 내재동기이론으로 구분.(보상, 흥미 등에 의한 행동)

 

2) 목표와 기대

목표 -개인이 성취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며 의도적인 행동의 조절자다.

동기- 인간의 의도적인 행동의 원인

목표- 인간의 의도적인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동기변인

심리학에서 목표와 관련된 연구

-Locke의 목표설정이론을 중심으로 한 조직행동 분야의 연구들

-인간 행동 전체에 대한 이론인 Ford(1992)의 동기체계이론(MST): MST에서는 목표의 내용 측면과 과정 측면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최근 학업동기 분야에서 목표에 관한 연구

-성취목표이론 :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목표지향성을 포함하는 성취목표지향성을 핵심주제로 하여 교육장면은 물론이고 다양한 인간행동과 관련된 영역에서 수많은 연구를 양산하고 있다.

 

기대- Tolman(1932)으로부터 유래된 인지적 개념이며, 성취동기이론은 대표적인 기대-가치이론의 근간이라 할 수 있다.

McClelland - 인간은 아직 얻지 못한 어떤 목표를 추구하기 때문에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목표에 대한 기대라고 함.

:동기는 목표에 대한 기대와 그 목표의 가치가 개인에게 의미하는 바에 의해서 결정.

Lewin(1935)의 ‘장이론’ -환경 속의 대상들은 각각이 개인에게 부여하는 특정한 의미 혹은 유인가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가치’라는 용어로 일반화되어 사용되기 시작.

기대-가치이론의 특징: 기대와 가치 간의 관계가 곱하기의 관계. 둘 중 어느 하나라도 영(0)의 값을 가지면 동기는 생기지 않는다.

 

3) 자기도식(self-schema)

자기도식이란 자신의 능력, 성격, 흥미, 가치관 등에 관한 인지적 혹은 지식의 구조를 의미한다.

(Woolfolk(2001)는 ‘자기도식’이라는 개념에 기초).

학습자가 스스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따라 동기가 달라질 것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자기도식을 파악하려는 동기이론들이 제시 - 자기개념, 학습된 무기력감, 자기귀인, 자기효능감, 자존감, 능력에 대한 지각, 자기가치감, 자기결정성, 자기조절 신념 등 : 이 모두 개인이 자신에 대한 생각이나 정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이 학습행동과 관련되어 있고 따라서 이들을 파악하면 학습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

 

자기도식의 관점

①비교적 안정적인 성격특성, 즉 개인차를 나타내는 원격동기 변인으로 보는 경우

-자기개념, 자존감, 귀인양식이나 일반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목표지향성 등으로 연구

-개인이 다양한 성취상황을 접할 때 비교적 일관성 있게 성취 관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다루어 짐.

-일반화 정도의 영역의 범위는 어느 정도이며 어떤 수준이어야 하는가를 명세화 해야 한다.

②특정상황이나 맥락에서 특정 과제와 관련된 상황특수적인 근접 동기변인으로 보는 경우

 

자기도식 개념을 가지고 학습자들의 동기를 파악하려는 이론들

-가장 많은 연구가 된 대표적인 것 : 자기개념, 자존감, 자기가치감 등의 자신에 대한 이미지나 능력에 관한 지각에 초점을 둔 이론들.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에 대한 신념은 학업동기에 영향을 미친다.

· 능력에 대한 실체적 견해를 가진 학습자 : 능력이란 안정적이고 통제할 수 없으므로 변화될 수 없는 특성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일단 자신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지각하면 더 이상의 노력을 하지 않는다.

· 능력에 대한 증가적 견해를 가진 학습자 : 능력이란 불안정한 것이고 언제라도 확장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 기술과 지식은 연습이나 노력에 의해서 확장될 수 있고 따라서 능력은 향상될 수 있다고 믿는다.

 

제 2절 동기연구 방법

1. 동기 변인

동기 변인의 보편적 분류 : 독립변인(연구자가 조작하고자 하는 변인), 종속변인(독립변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변인), 중재변인(독립변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의 관계의 강도 또는 방향에 영향을 주는 변인), 통제변인(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변인), 조절변인(상호작용효과를 갖게 하는 독립변인) 등

예: ‘자율성’이 ‘숙달지향성 정도’에 따라 ‘실패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2. 동기연구에 대한 접근 방법

동기연구를 위한 자료수집 방법-관찰법: 자연관찰과 체계적 관찰법으로 구분

자기보고법: 개인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 태도 등을 표현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

 

1) 기술적 연구(descriptive research)

-현상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기술

참여관찰법(participant observation) : 실제 교실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들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 파악 가능

사례 연구(case study) : 주로 소수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심층면접과 사례사 수집을 통해 문제의 원인과 해답을 찾는 조사 방법

조사연구(survey) : 다수의 연구대상자들의 상태나 현상을 파악

 

2) 실험 연구(experimental research)

-자연과학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연구방법

-실험 연구의 특징

①이론에 근거하여 가설을 수립하고 이것을 검증하기 위해 실증 자료를 수집하고 추리통계를 사용하여 가설검증 실시

②독립변인에 대한 조작을 가하고 가외변인(연구자의 조작과는 별개로 종속변인과 독립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통제

③통제를 위한 방법은 처치집단의 무선 표집이나 무선화 기법을 적용

④종속변인을 위한 측정은 신뢰롭고 타당한 관찰 절차나 측정도구를 사용

⑤실험연구는 다른 연구자에 의해 반복 연구가 가능해야 함.

 

3. 과학적 이론의 특징

‘과학적 이론’이란? 이론은 현상 또는 현상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잠정적 설명.

이론은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며, 예측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과학적 이론의 특징

①이론이 다루는 현상의 범위가 크냐 작으냐에 따라 거시적 이론과 미시적 이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성취동기 이론- 거시적 동기이론, 자기 효능감 이론 - 미시적 이론)

②이론이 포함하고 있는 용어들과 가설들 간의 관련성이 얼마나 논리적인가의 정도에 차이가 있다.

③이론이 실제 현장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가에 대한 유의미성의 정도, 즉 생태학적 타당성 정도에 차이가 있다.

④간명성의 차이가 있다.

 

4. 동기의 측정

1) 측정을 위한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측정 대상이 되는 추상적 개념에 대해 관찰이나 측정가능한 지표로 변환시키는 것을 ‘조작화(operationalize)'라고 하고 이렇게 내린 정의를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라고 한다.

 

2) 동기 평가를 위한 척도

Murray(1943)의 ‘주제통각 검사(Thematic Apperception Test :TAP)’ :투사적 기법으로서 사람들은 애매한 자극을 해석할 때 자신의 내적 상태, 즉 자신의 욕구를 반영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만들어진 척도

Spence와 Helmrich(1983)의 ‘성취동기 척도’

Amabile, Hill, Hennessey와 Tighe(1994)의 'Work Preference Inventory(WPI)‘(직무 선호도 조사) : 직무상황에서의 동기적 경향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

Midgley등이 개발한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PALS, 1997)' Ryan과 Connell(1989)의 ‘자기조절 설문지’

김아영(2002)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척도’ 등.